식중독 증상 대처방법 예방법 3가지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무더운 여름철 어김없이 찾아오는 불청객이 있는데요, 바로 식중독입니다. 30도가 넘는 온도와 습도가 높은 날씨에는 음식을 조심해야합니다.
식중독은 특히 온도가 높은 7~8월에 가장 빈번하게 나타납니다. 온도가 올라가면서 살모넬라군, 황색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균 등 주요 식중독균의 증식이 더욱 기승을 부립니다. 이 때 균에 오염된 음식을 먹으면 식중독에 걸리게 됩니다. 식중독균은 잠복기가 짧기 때문에 증상이 금방 나타납니다.
식중독 증상 대처방법 예방법 3가지
1. 식중독 종류
식중독은 3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미생물 식중독, 자연독 식중독, 화학적 식중독이 있습니다. 생활속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식중독은 미생물 식중독인데 이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원충에 의해 발생하게 됩니다. 미생물 식중독을 발생시키는 균으로는 장출혈성대장균(EHEC), 살모넬라균, 황색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균 등이 있고 보통 잠복기는 최소1시간~최대6일 정도로 짧은 편입니다. 원인 균에 따라 증상도 달라지게 되는데, 아래에서 식중독 증상을 살펴보겠습니다.
2. 식중독 증상
대표적인 식중독 증상으로는 복통, 구토, 설사, 탈수, 무기력감, 근육통, 오한, 발열, 두통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여름 감기와 헷갈릴 수 있으니 주의해야합니다.
이 외에도 두드러기, 의식장애, 두드러기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증상은 원인 물질에 따라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게 됩니다. 장출혈성대장균(EHEC)의 경우 혈변,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살모넬라균은 설사를 동반한 발열, 복통 증상이 있게됩니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심한 구토 증상과 설사 증상이 나타나고 장염비브리오균은 설사, 복통, 구토, 발열 등의 증상이 고루 나타나게 됩니다. 원인 균마다 잠복기와 증상이 다르므로 의약품안전나라를 참고하거나 병원을 방문하여 어떠한 원인으로 발생했는지 체크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3. 식중독 대처방법
설사증상으로 인한 지사제 복용은 자제해야합니다. 특히 소아의 경우 함부로 지사제를 복용시키면 안됩니다. 지사제는 장의 운동을 멈추게 하는데 이는 식중독 유발균이 장에 더 머무르게 하여서 상태를 악화시킵니다. 대개 식중독으로 인한 식사는 수분 보충과 휴식을 취하면 낫습니다. 건강한 성인이라면 2~3일 후 자연스럽게 해결되지만 면역력이 낮은 노인, 노약자, 어린이 등이 감염되었다면 증상이 악화되기 전에 꼭 병원을 찾아 치료받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4. 식중독 예방법
첫 번째로 근본적인 음식물 관리가 중요합니다. 주의해야할 음식으로는 어패류, 육류가 있습니다. 돼지고기, 닭고기, 쇠고기 순서로 발생률이 높고 나물, 샐러드, 달걀 특히 반숙 등이 있습니다. 조리한 음식은 빠른 시간 내에 섭취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두 번째로 철저한 개인위생을 위한 손씻기도 중요합니다. 손씻기 만으로도 식중독은 70% 이상 예방된다는 점 알고계셨나요? 외출 후, 식사 전, 조리 전 손씻기는 필수입니다. 세 번째로 꼼꼼한 주방위생을 지키는 것도 중요합니다. 익혀먹기, 끓여먹기, 조리기구 살균세척을 실천해주세요. 해산물이나 채소류도 흐르는 물에 씻은 후 익혀서 섭취해야 합니다. 물도 끓여마신다면 예방에 좋습니다. 안전한 물을 마셔야 합니다.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계곡물이나 샘물 등은 함부로 마시지 않습니다.
가벼운 식중독의 경우 설사, 구토 등으로 해소 뒤 자연치유되곤 합니다. 그러나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는 만큼 무시할 수 없는 식중독입니다.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지체하지 않고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관련글 : 대상포진 초기증상 5가지와 대상포진 전염성
관련글 : 피부 알레르기 증상과 알레르기 원인 6가지
관련글 : 번아웃 증후군 증상 해결법 3분 만에 알아보기
관련글 : 냉방병 3가지 발생원인 증상 치료법 확인하세요